[스위스, 재생 에너지 발전을 촉진하는 법안 승인] 공식 결과에 따르면 스위스 유권자의 69%가 "재생 가능 에너지에 기반한 안전한 전력 공급"에 관한 법률을 지지했으며, 이는 전국적인 국민 투표 전에 발표된 여론 조사 추세를 확인
스위스, 재생 에너지 발전을 촉진하는 법안 승인
스위스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재생 에너지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법률을 일요일에 승인했다. 공식 결과에 따르면 스위스 유권자의 69%가 "재생 가능 에너지에 기반한 안전한 전력 공급"에 관한 법률을 지지했으며, 이는 전국적인 국민 투표 전에 발표된 여론 조사 추세를 확인시켜준다.
"스위스 국민들은 우리의 전기 공급에 대해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고 이 법을 지지하는 안전하고 저렴한 전기 공급을 위한 연합(Alliance for a Safe and Affordable Electricity Supply)은 말했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스위스는 유럽 인권 재판소의 판결로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국제 재판소로부터 유죄 판결을 받은 첫 번째 국가가 되었다.
재생에너지법은 지난해 의회에서 승인됐고, 대부분의 환경단체들은 이 법안과 그 야망을 지지하고 있다. 여기에는 거물급 그린피스와 WWF가 포함된다. 주민투표 결과에 대해 그린피스는 원자력이 이제 "쓸모가 없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스위스 에너지 그룹 악스포에 "두 원자로와 베즈나우 원자력 발전소의 신속하고 확실한 중단을 위한 기한을 정할 것"을 촉구했다. "그들은 지구상에서 여전히 활동하는 가장 오래된 원자로 중 하나이며 해결할 수 없는 안보 위험을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베르트 로스티(Albert Rosti) 환경에너지부 장관은 이 법이 스위스, 특히 겨울철에 "공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고 말했다.
- 강경 우파 야당 - 이는 풍력과 태양광 발전이 현재 스위스의 에너지 믹스에 미미하게 기여하고 수력 발전을 빠르게 늘려 부유한 내륙국이 수입 전기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법은 건물 지붕과 정면에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풍력 터빈 및 대형 태양광 설비에 대한 계획 허가를 용이하게 한다. 몇몇 소규모 환경 단체를 포함한 비평가들은 이 법이 대규모 에너지 프로젝트를 앞당기고 스위스의 깨끗한 알프스 풍경을 풍력 터빈과 태양 전지판으로 뒤덮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은 또한 지역 주민들이 새로운 재생 에너지 설비 건설에 대해 호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한다. 스위스 최대 정당인 강경 우파 스위스인민당(SVP)도 지난해 전체 에너지 생산의 32%를 차지한 민간 원자력을 옹호한다는 명목으로 이 법에 반대했다.
투표 후 이 법은 스위스 국민들에게 "비싼 가격에 적은 전기를 공급"하고 "엄청난 환경 파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불평했다. 정부는 대규모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법원 항소가 "이전보다 성공할 가능성이 낮을 것"이라고 인정했다.
- 보건 이니셔티브 거부 - 그러나 프로젝트는 사례별로 검토될 것이며 "국가적으로 중요한 비오톱"과 철새 보호구역에 대규모 시설을 건설하는 것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계속 금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법은 지난해 국내 발전의 57%를 차지했던 16개의 수력발전 프로젝트를 예고하고 있다. 여기에는 새로운 댐을 건설하거나 기존 댐을 높이는 것이 포함된다.
스위스의 직접 민주주의 시스템 하에서 시민들은 18개월 이내에 100,000명의 유효 서명을 수집하여 주제에 대한 투표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투표는 3개월마다 실시된다.
일요일에는 건강과 관련된 세 가지 주제에 대한 투표도 있었는데 모두 부결되었다. 유권자들은 의료비 부담액을 소득의 10%로 제한하고 의료비를 제한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그들은 또한 Covid의 확산을 막기 위해 도입된 조치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제안한 이니셔티브를 일축했다.
백신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특정 의료 시술에 대한 동의를 거부하는 사람들이 처벌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 (에너지 데일리)
<저작권자 ⓒ ai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3
자율차,드론, 교통, 에너지,기후 많이 본 기사
1
최신기사
|